본문 바로가기
투자일기

노후가 걱정인 40대 직장남의 노후대책 투자 긍정회로

by 출장피플 2025. 2. 9.
300x250

나는 현재 40대 초반이다. 어제 그제 30대라고 생각했던 나는 어느새 앞자리가 바뀌어 있었다.

20대 30대에는 아무 걱정 없이 먹고 싶은 거 먹고 가고 싶은 데 가고 하고 싶은 거 다하고 살았던 거 같다. 하지만 40대가 되어서 보니 나는 노후를 위해 여태껏 크게 아무것도 한 게 없다고 생각하니, 미래의 내 삶이 점점 두려워진다.

노후대책-주식계좌-연금저축

30대 후반부터 투자했던 etf 종목

그래도 다행인 건 30대 후반부터 연금저축 계좌를 알게 된 이후 절세계좌를 활용해 조금씩 저축했다. 1년에 약 600만 원씩 채웠던 거 같다. 투자 기간은 4년 정도 되었다. 이렇게 모아서는 앞으로 60세 이후 넉넉하지는 않아도 도움이 될 거 같긴 하다.

주택연금-예상조회-계산기

만 55세가 되면 가입되는 주택연금 예상금액 조회하기

대한민국 국민의 대부분은 노후를 걱정한다. 그 이유는 모아논 돈이 없어서 제일 불안하다고 생각한다. 퇴직 후 소득은 절반 이상으로 크게 감소할 것이고, 여기에 만약 집이나 기타 남아있는 대출금이 있다면 더욱더 최악이다.

일단 공시가 1억 원의 일반적인 주택을 보유했을 때 주택연금으로 매월 받을 수 있는 금액을 가상으로 돌려봤다.

주택연금-예상금액-조회주택연금-예상조회-금액

주택연금 설정은 종신형 초기증액(3년) 결정

그래서 나는 어떻게 노후를 현명하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한 결과를 적어보려고 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집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단 주거의 안정은 분명히 필요하다. 그래서 신축아파트를 포기하고 크게 대출받지 않는 조건의 구축아파트나 주택을 구매하는 것이다.

그리고 만 55세가 되면 주택연금을 가입하려고 한다. 공시가 1억 원 기준 최초 3년간 월 17만 원 정도 나온다고 한다. 주택연금 설정은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에 따라 월수령액 변한다는 점은 참고하길 바란다.

그리고 연금저축이다. 국내상장 ETF 분배금으로 나오는 금액을 활용하는 것이다.

추가로 60세가 되면, 퇴직 시 받게 되는 퇴직연금도 dc형으로 해야 유리하다.

주택연금-예상조회-종신형-설정하기

연금저축 주택연금 퇴직연금 모두 성투하길 바란다.

정확한 계산은 얼마나 될지 정확히 계산해 보지는 않았지만, 포기하는 것은 최악이니,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이번 달부터 실천한다면 나와 비슷한 상황인 40대들 노후는 그래도 긍정회로를 돌려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300x250